지난번에 MAC에서 JDK와 IntelliJ를 설치했다.
https://0and.tistory.com/192
이제 스프링부트를 통해 프로젝트를 스캐폴딩해보자
우선 spring initializr에 접속한다.
https://start.spring.io
해당 사이트에서 Maven으로 할지 Gradle로 할지 설정한다.
Maven에 언어는 Java로 하고 Spring Boot 2.7.10 버전으로 하겠다.
Group ID 와 Artifact ID 가 있다.
default로 com.example와 demo로 설정되어있는데 그대로 넘어가겠다.
프로젝트에 대한 Description과 Package name이 있다.
Package name은 Group ID와 Artifact ID가 결합된 형태가 default로 설정되어있다.
jar로 패키징하면 톰캣이 내장되어 별도의 애플리케이션 서버가 필요없다.
jar로 하고 Java 버전은 8로 하겠다.
Dependencies도 추가할 수 있는데 나중에 추가해도 된다.
spring mvc를 사용할거니까 web을 추가해보자.
ADD를 누르고 web을 검색하면 Spring Web이 나오는데 클릭해서 추가해주자.
이제 하단에 GENERATE를 클릭하면
Spring MVC가 Dependencies로 설정된 프로젝트가 만들어진다.
다운받아진 demo.zip을 더블클릭하여 압축을 해제하자.
IntelliJ를 실행하고 Import Project를 클릭.
압축해제한 demo를 open한다.
external model에 maven 프로젝트를 지정한다.
전체적인 JDK세팅인데 여긴 건드릴게 없다.
여기 JDK1.8이 등록되어있어햐 한다.
나처럼 안보이면 JDK 설치된 장소를 찾아서 추가해주자.
+버튼을 누르고 JDK를 찾아서 추가해준다.
잘 추가된게 보인다. 일반적으로 MAC에서는 해당경로에 JDK가 설치된다.
Finish를 누르면 프로젝트가 로딩된다. tip은 닫아주자.
src디렉토리는 main과 test로 나누어 지는데
main에서 소스를 만들면 test에도 똑같이 적용이된다.
스프링이 테스트를 중요시하는 개발자가 되도록 독려한다고 생각하자.
main에 있는 DemoApplication을 실행해보자.
class 레벨에서든 main method 레벨에서든 아무렇게나 실행해보자.
하단에 내장된 tomcat에 의해 서비스가 실행된게 보인다.
'dev' 카테고리의 다른 글
Mac IntelliJ 설치하기 (0) | 2023.03.25 |
---|---|
Mac에서 Java JDK 설치하기 (0) | 2023.03.24 |
JSP/Servlet 개념 및 환경구축(tomcat설치 및 이클립스 설정) (0) | 2020.08.07 |
JDBC 실습(JDBC로 select하기) (0) | 2020.08.05 |
JDBC 개념 및 사용방법 (0) | 2020.08.02 |
댓글